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칼과 입술

칼과 입술

칼과 입술 은 어머니의 수저 와 같은 책입니다. 칼과 입술 의 책 표지가 양장인 것만 다릅니다. 어머니의 수저 윤대녕작가의 책머릿말을 보고 의아심이 생깁니다. 새 책으로 내보면 어떻겠느냐 ...란 출판사 제의에 대한 문구입니다,겉표지만 달리한 새 책이란 말은 안하셨어요.작가 어머니께 보여드리기 좋으라고 새로 내기에 찬성하셨다는 건지요?같은 책을 표지 두께만 달리하는 것을 정녕 알고 계셨을까? 모르셨을까?알고도 출간에 대해 동의하셨을까?윤대녕작가의 책은 모두 구입한 애독자가 전합니다.

삶은 칼과 입술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새롭게 펴내는 윤대녕 산문의 정수, 팔순 어머니에게 바치는 책

한국문학에서 그의 영토는 고유하다. 이를테면 삶의 사막에서, 존재의 외곽에서 (「은어낚시통신」, 1994) 인간 존재의 시원과 여정을 끊임없이 탐구해온 작가 윤대녕. 그의 문학적 대기 안에서 한국문학이 좀 더 풍요로운 시절을 향유했다는 건 자명하다. 작가적 도정 가운데 그만이 일구어낼 수 있는 성취 하나는 그의 입과 눈과 발이 머무는 곳, 곧 음식과 길 위의 여행이 집약된 산문의 장일 것이다. 많은 독자의 애정을 받았고 끊임없이 회자되어오던 윤대녕의 맛 산문집 어머니의 수저 를 출간 10년 기념 특별한 산문집으로 다시 펴낸다.

작가는 지난 2015년 1년여 캐나다에 거주하는 동안 손수 해먹던 매번 어딘가 잘못 조리된 것 같은 음식 이야기를 하며, 지난 세월을 음식으로 다시금 소환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사람은 태어난 곳으로부터 사방 십리의 음식을 먹고 살아야 무병하다는 그의 말처럼, 결국 돌아올 곳 화해할 곳은 지난날의 음식, 시간, 사람임을 깨달았던 것이다.

그간의 풍화에 훼손되지 않은 기억의 풍경을 하나하나 복원해 새롭게 가다듬었고 시간을 견디지 못한 글은 아낌없이 내려놓았으며 오류는 마침내 바로잡아 칼과 입술 로 매듭지었다.

이 책은 열 가지 맛의 기억 사전 형식을 빌려 우리나라 음식의 기본이라 할 된장, 간장, 고추장, 김치, 장아찌, 젓갈부터 소, 돼지, 닭 그리고 갖가지 생선, 술, 제주도와 섬진강의 먹을거리 등을 정갈하고도 맛깔나게 써내려간 윤대녕 작가만의 풍미 가득한 산문집이다.

책머리에

처음의 맛
동침하는 부부_ 수저
이동하는 식탁_ 한식

묵힌 맛
어머님이거나 부처님_ 된장
달항아리의 얼룩_ 간장
떡볶이와 붉은 악마_ 고추장

살아 있는 맛
신성한, 너무나도 신성한_ 소
죽어서도 돈을 먹는 짐승_ 돼지
브리짓 바르도에게_ 개
그대, 날기를 영원히 포기했는가_ 닭

오랜 풍경의 맛
공자가 콧등을 찌푸린 까닭은?_ 김치
독 속에 은둔하는 자들_ 장아찌
어머니의 짠 젖_ 젓갈

물고기의 맛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하다_ 명태
그 푸른 힘으로_ 고등어
칼과 입술_ 갈치
살구꽃 필 때 울면서 북상하다_ 조기

장소의 맛
경주에서 고래고기를 먹다
제주도의 맛
내가 대전에 가는 또 다른 이유

시간의 맛
섬진강의 봄
섬진강의 가을
봄밤에 찾아간 곳들

함께의 맛
황복 먹고 배꽃을 보다
그의 칼 솜씨

마시는 맛
그 뜨거움과 차가움에 대하여_ 소주와 맥주
그 탁함과 맑음에 대하여_ 막걸리와 청주

끝의 맛
생선회들
어머니와 함께 먹고 싶은 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