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사진이 묻고 철학이 답하다 – 이광수, 최희철(2017.06.26.) 사진과 철학...가까울 것 같지만, 가깝게 연결되는 단어는 아닌 것 같다.어떻게 담았을까 이 책은 사진을 찍는 인문학자와 철학하는 시인이 하나의 사진을 두고서로 이야기를 담아둔 것이다.사진이 앞에 나와 있지만,사진은 이야기를 꺼내기 위한 발화점이고담겨진 삶의 이야기를 여러 각도에서 말한다. 사진은 이광수 교수가 인도를 여행하며 찍고,그 사진과 이야기에 대해 사진가는 보고시인은 읽는다. “갇혀 있는 것들에 대한 사유”무엇인가 갇혀 있는 사진이 있다.이를 사진가는 갇혀 있는 성소를 보며개인과 사회의 단절을 안타까워한다.단절을 넘어 대청마루의 소통을 그리워한다. 하지만..같은 사진에 대해시인을 이렇게 읽는다.갇혀 있으므로 본질이 흩어져 버림을 아쉬워한다.동물원 사자가 갇혀버리며 사자의 본질을 잃어버린 것처럼사회의 틀에 갇혀 있는 제도와 이데올로기에 대해 말한다.진정한 본질이 무엇인지... 이 한편이 이 책의 전반적이 흐름을 말해준다.종교와 역사를 전공한 인문학자의 관점과넓은 바다에 살며 철학적으로 시를 쓰는 시인 좋은 시도이며 좋은 내용이다.하지만 철학이고 시적이며, 종교와 역사를 넘나들어..쉽게 읽어지지는 않을 것이다.특히 모나드(실체와 본질을 의미하는 철학용어)라든지타자(das Andere, others, 他者, 자아의 상대 개념)이든지...어렵다.뭐..철학책이니까..(물론 쉬운 철학책도 있다..) 철학은 생각의 틀이다.같은 것을 보아도 그 아래 흐르는 생각이나 보이지 않는 압력을찾아내고 이해하려는 것이 철학이다. 가볍게 읽어지는 책은 아니다.졸린 눈으로 보다가도 생각이 꼬리를 물어 잠을 깨게 하는 책이다.하지만 한 장 한 장 읽어가며한 단락 단락 꼽씹어 볼만한 책이라고 생각된다.사진을 넘어 눈 앞에 보이는 어떤 장면에서자신의 철학으로 돌아보고 싶게 자극하는 책이다. 평소 철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매우 공감할만한 책이지만,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늘 보는 광경,또는 새로운 곳에 대한 놀라움을철학의 렌즈로 사유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다양한 관점을 제시한 측면에서 흥미로운 책이다. 뱀의 다리... 사진을 찍은 이광수 교수님은 만나뵌 적이 없다.대부분의 책은 저자를 직접 만나는 경험이 없지만,최근 나는 저자들을 만나서 책을 보는 드문 경험을 하고 있다. 철학하는 시인 최희철 선생님은내가 일하는 곳에 가끔 놀러오신다.얼핏 보면 딱 동네아저씨이다.넉살좋고 유쾌하시고.. 처음 주변에서 베르그송주의자*라고 했다.철학자...철학자라면 강신주, 이진우 등 이름있는 교수님들을 상상하지만,그냥 동네아저씨가 철학자라니...이런 생각을 가지만 하지만,동네 가게에서 주변 사람들에게 철학자의 소임을 위해글을 쓰셨다는 탁석산 선생님이 생각나기도 한다. 곧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신다고하신다.무사히 잘 돌아오시고또 많은 생각을 담아오시길기원한다.
이 상품은 YES24에서 구성한 상품입니다.(낱개 반품 불가).
[도서] 사진 인문학 : 철학이 사랑한 사진 그리고 우리 시대의 사진가들 | 저 | 알렙사진에 대한 권력을 비판하고,
인문학적 사유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는,
한 역사학자의 사진으로 철학하기
사진은 과학도 되고 예술도 되고 역사도 된다!
그래서 사진은 인문학의 보고다!
사진 세계에 뒤늦게 매혹되어, 사진과 사진 비평을 직접 하게 된 역사학자 이광수 교수의 첫 작업은 철학의 주요 개념들로 프로 작가들의 작품 세계의 의미를 파헤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사진으로 철학하기 는 예술과 철학이 맺는 전통적인 결합 방식이다. 한편, 이 교수는 사진에 담긴 뜻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그들의 작품 세계를 더 내밀히 들여다볼 방법을 찾고자 했다.
사진가의 의식을 더 내밀히 들여다보기 위해서는 사진 한 장 이 아닌, 사진들의 배열 을 봐야 하며, 이미지만이 아닌 텍스트(캡션, 제목, 작업 노트)를 같이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자는 우리 시대의 사진가들과 사진 인문학을 ‘함께’ 쓰고자 했다.
[도서] 사진이 묻고 철학이 답하다 : 사진 찍는 인문학자와 철학하는 시인이 마주친 모나드 | , 공저 | 알렙인문학자 이광수 교수와 시인 최희철의 인문학 컬래버레이션!
사진, 시처럼 철학처럼 읽다
현대의 대표적인 대중예술인 사진은 인문학의 향연을 펼치기 좋은 매체다. 사진만큼 시간, 존재, 재현 등에 관한 다양한 시선과 그것을 둘러싼 권력과 맥락을 포함하는 매체는 그리 많지 않다. 그래서 이 책의 공저자인 이광수 교수는 전작 사진 인문학 에서 사진을 인문학의 보고寶庫라 했다.
이광수 교수는 사진으로 인문학적 사색의 향연을 펼칠 뿐 아니라, 그 ‘생각’을 다른 이와 ‘같이’ 나누어보고자 했다. 누구나 사진을 찍지만, 사진에 대해서 말하는 이는 드물다. 사진에 관해서는 좋은 사진 과 나쁜 사진 이라 말하면 끝일까? 사진에 담긴 생각을 제대로 말했다고, 제대로 읽었다고 말할 수 있는가? 이광수 교수는 자신이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수년 동안 직접 찍은 사진들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오랜 벗이며 후배인 철학하는 시인 최희철과 사유의 길에 나섰다.
[도서] 사진으로 생각하고 철학이 뒤섞다 : 사진 찍는 인문학자와 철학하는 시인이 마주친 모두스 | , 공저 | 알렙삶은 혼돈, 혼돈이 낳은 뒤섞임의 풍경이다!
사진을 놓고 하되, 사진에 관하지 않은 세계에 대한 생각과 해석
사진 찍는 인문학자와 철학하는 시인이 만난다면 어떤 풍경이 그려질까? 부산외국어대학교 이광수 교수와 철학하는 뱃사람 최희철 시인은 사진을 두고 자유로운 사유의 세계를 펼치는 사진 놀이를 해왔다. 그 첫 결과물이 2016년 출간된 사진이 묻고 철학이 답하다 였다.
한 해가 지난 2017년, 둘은 다시 만나 사진과 시와 철학과 삶을 놓고 이야기를 펼쳤다. 그사이 사진가는 인도를 두 번 다녀왔고, 시인은 태평양을 두 번 횡단했다. 이번에 사진가와 시인을 묶은 이야기의 고리는 스피노자의 모두스modus(양태) 개념이다. 양태는 실체가 드러나는 방식, 실체가 변화하는 방식, 실체가 표현되는 부분을 말한다. 사진가가 찍은 사진은 정적이지만 마냥 정적이지 않다. 정지된 사진 속에 천변만화하는 세상의 풍경을 오롯이 담아내기란 애초에 불가능한 일인지도 모른다.
서문 사진의 뜻은 어디에 있을까?
제1부 사진의 인문학
들어가며 사진은 인문학의 보고다
제1장 벤야민의 아우라: 익숙한 것을 낯설게 읽기
제2장 바르트의 풍크툼: 기호가 넘치는 세계에서 찔린 아픈 상처
제3장 하이데거의 존재: 사물의 재현이 아닌 존재의 체험
제4장 칸트의 주관: 창조성의 근대적 영역 찾기
제5장 엘리아데의 원초: 영원회귀를 향한 메타 시간
제6장 구하의 기록: 작고 모호한 삶의 역사
제7장 레비스트로스의 참여 관찰: 낯선 문화와의 만남
제8장 데리다의 해체: 흔적 위에서 모든 시선의 해방
제9장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동양에 대한 편견과 왜곡
제10장 들뢰즈의 시뮬라크르: 복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변화에서 생긴 차이
제11장 푸코의 탈주체: 근대적 주체에서 벗어나 새로운 자기 찾기
제12장 보드리야르의 가상: 이미지가 실재인 세상
제2부 사진 속 생각 읽기
들어가며 사진에 담긴 생각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제1장 이순희와 재현: 「보이는 것은 모두 동일한가?」
제2장 이정진과 가상: 「매트릭스」
제3장 이상욱과 스케치: 「Blue City」
제4장 최철민과 시간: 「邑, 江景 ?시간이 잠든 집」
제5장 정금희와 사유: 「바람 속에 누군가 있다」
제6장 이정규와 유사: 「공존의 이유」
제7장 최원락과 행위: 「사진의 힘」
제8장 박정미와 담론: 「도시의 섬」
제9장 김병국과 은유: 「내 꿈의 언저리」
제10장 이광수와 전유: 「신자유주의」
제11장 이순남과 퍼포먼스: 「벽 속의 사람」
제12장 JOOJOO와 스토리텔링: 「matilda, 이중적 빨강」
제3부 사진으로 철학하기
들어가며 사진으로 어떻게 말을 할 것인가?
제1장 「고통은 현재이다」 그리고 수전 손택
제2장 「공장, 언캐니」그리고 미셸 푸코
제3장 「어머니의 땅」그리고 반다나 시바
제4장 「큰 아름다움은 말이 없다」그리고 장자
제5장 「붉은 망토의 시간 여행자」 그리고 마르틴 하이데거
제6장 「노에마」 그리고 에드문트 후설
제7장 「Undefined」 그리고 질 들뢰즈
제8장 「질서의 바깥 풍경」 그리고 장 보드리야르
제9장 「NINE(123456789)」그리고 이반 일리치
제10장 「밀려나는 사람들」 그리고 제러미 리프킨
제11장 「신(新)시지프스」그리고 알베르 카뮈
제12장 「아모르 파티」그리고 프리드리히 니체
카테고리 없음